<분할 압축방법>
- $ tar cvzf – [압축대상] | split –b [용량지정] - [압축파일].tar.gz
$ tar cvjf – [압축대상] | split –b [용량지정] - [압축파일].tar.bz2
$ tar cvf – [압축대상] | split –b [용량지정] - [압축파일].tar
- 앞에 띄어 쓰기가 중요합니다.
용량은 다양한 단위를 가질 수 있습니다.
512 를 지정했다면 512 byte, 1k를 지정했다면 1KB, 1m를 지정했다면 1MB 단위로 이해하면 됩니다.
그러면 [압축파일].tar.gzaa, [압축파일].tar.gzab, [압축파일].tar.gzac....
순으로 분할되어 압축파일이 생성됩니다.
<분할 압축풀기>
- 압축을 풀기 위해서는 모든 압축파일을 한 디렉토리에 모으고 다음과 같이 타이핑합니다.
$ cat 압축파일.tar.gz* | tar xvzf -
$ cat 압축파일.tar.bz2* | tar xvjf -
$ cat 압축파일.tar* | tar xvf -
예를 들어 codec 디렉토리를 100메가 단위로 압축 한다고 하면
$ tar cvzf - codec |split -b 100m - codec.tar.gz
풀 때는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 cat codec.tar.gz* | tar xvzf -
<자동 압축풀기 파일 작성>
- 일일이 타이핑하지 않고 자동으로 풀고 싶으시다면
자동 풀림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vi, gedit 같은 텍스트 에디터로
setup 파일을 만들고 다음 내용을 적고 저장합니다.
#!/bin/sh
cat codec.tar.gz* | tar xzvf -
그 다음 실행 권한을 부여합니다.
$ chmod 755 setup
자 이제 누구든지 setup만 치면 파일이 자동으로 풀립니다.
단 압축 파일이 모두 한 디렉토리에 있어야겠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