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성요소
4개의 사물과 4개의 관계그리고 9개의 다이어그램
사물 - 구조 사물, 행위 사물, 그룹 사물, 주석 사물
관계 - 의존관계, 연관관계, 일반화관계,실제화관계
다이어그램 - 클래스 다이어그램, 오브젝트 다이어그램, 유즈케이스 다이어그램, 시퀀스 다이어그램, 협력 다이어그램,
상태 다이어그램, 행위 다이어그램,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배포 다이어그램
2) 표현요소
(1) 유즈 케이스 다이어그램을 통해 시스템의 주요 요소와 기능들을 표현한다.
(2) 상호작용 다이어그램을 통해 유즈케이스의 각 요소들을 실현해 내게 된다. 이때 상호작용 다이어그램은 여러
다이어그램으로 나뉘어진다.
(3) 클래스 다이어그램과 상태 다이어그램들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정적인 요소들과 객체의 행위들을 표현하
게 된다.
(4) 컴포넌트 다이어그램과 배포 다이어그램들을 통해 시스템의 물리적인 구조들을 표현하게 된다.
3) 구조사물 - 정적인 요소들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1) 클래스 : 객체생성기로 데이터와 메소드 그리고 다른 클래스와의 관계등을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를 속성 그리고 메소드를 오퍼레이션이라고 표현한다.
클래스명
속성
오퍼레이션
(2) 인터페이스 : 클래스나 컴포넌트의 메소드들을 표현한 것으로써 각 요소들의 행동을 보다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원으로 표현한다.
(3) 협력 : 각 요소들 사이의 상호 작용하는 내용들을 정의하게 된다. 타원으로 표현한다.
(4) 유즈케이스 : 구축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활동들을 순차적으로 기술하게 된다. 그 결과를 액터에게 넘겨주게 되는데, 결과물을 넘겨주는 역할은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협력이 담당하게 된다.
(5) 컴포넌트 : 정의를 충족시켜주는 모듈을 표현한 것
(6) 노드 : 시스템이 실행되는 시점에 사용되는 물리적인 요소를 다루게 된다.
4) 행위 사물 - 동적인 부분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시간과 공간 모두를 의미하는데, 시간과 공간의 차이에 따라 변하는 내용들을 표현하게 된다.
5) 그룹사물 - 모델링의 대상이 되는 모델들을 분해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단위로 모델들의 집합형이 된다.
패키지가 있다. - 한개 이상의 정적 사물로 이루어진다.
6) 주석사물 - 모델들을 설명하는 기능을 가지는 사물로 각 요소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뜻을 명확히 하도록 설명을 한다.
노트가 있다. - 요소나 요소들에 추가되어야할 설명들을 첨부한다.
7) 의존관계 - 한쪽 사물에 변화가 있었을때 다른 쪽 사물도 그 영향을 받는 관계
------>
8) 연관관계 - 객체와 객체 사이에 의미있는 연결을 맺는 것을 연관이라고 한다.
9) 일반화 관계 - 부모와 자식 또는 조상과 자손의 관계를 의미한다.
ㅡ>
10) 실제화 관계 - 개념적으로만 정의된 부분과 실제로 구현된 부분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한쪽부분은 실행하기로 한 약속들을 정의하고 다른 부분은 그 약속들을 구현한 경우 상호간에는
실제화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4개의 사물과 4개의 관계그리고 9개의 다이어그램
사물 - 구조 사물, 행위 사물, 그룹 사물, 주석 사물
관계 - 의존관계, 연관관계, 일반화관계,실제화관계
다이어그램 - 클래스 다이어그램, 오브젝트 다이어그램, 유즈케이스 다이어그램, 시퀀스 다이어그램, 협력 다이어그램,
상태 다이어그램, 행위 다이어그램,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배포 다이어그램
2) 표현요소
(1) 유즈 케이스 다이어그램을 통해 시스템의 주요 요소와 기능들을 표현한다.
(2) 상호작용 다이어그램을 통해 유즈케이스의 각 요소들을 실현해 내게 된다. 이때 상호작용 다이어그램은 여러
다이어그램으로 나뉘어진다.
(3) 클래스 다이어그램과 상태 다이어그램들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정적인 요소들과 객체의 행위들을 표현하
게 된다.
(4) 컴포넌트 다이어그램과 배포 다이어그램들을 통해 시스템의 물리적인 구조들을 표현하게 된다.
3) 구조사물 - 정적인 요소들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1) 클래스 : 객체생성기로 데이터와 메소드 그리고 다른 클래스와의 관계등을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를 속성 그리고 메소드를 오퍼레이션이라고 표현한다.
클래스명
속성
오퍼레이션
(2) 인터페이스 : 클래스나 컴포넌트의 메소드들을 표현한 것으로써 각 요소들의 행동을 보다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원으로 표현한다.
(3) 협력 : 각 요소들 사이의 상호 작용하는 내용들을 정의하게 된다. 타원으로 표현한다.
(4) 유즈케이스 : 구축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활동들을 순차적으로 기술하게 된다. 그 결과를 액터에게 넘겨주게 되는데, 결과물을 넘겨주는 역할은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협력이 담당하게 된다.
(5) 컴포넌트 : 정의를 충족시켜주는 모듈을 표현한 것
(6) 노드 : 시스템이 실행되는 시점에 사용되는 물리적인 요소를 다루게 된다.
4) 행위 사물 - 동적인 부분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시간과 공간 모두를 의미하는데, 시간과 공간의 차이에 따라 변하는 내용들을 표현하게 된다.
5) 그룹사물 - 모델링의 대상이 되는 모델들을 분해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단위로 모델들의 집합형이 된다.
패키지가 있다. - 한개 이상의 정적 사물로 이루어진다.
6) 주석사물 - 모델들을 설명하는 기능을 가지는 사물로 각 요소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뜻을 명확히 하도록 설명을 한다.
노트가 있다. - 요소나 요소들에 추가되어야할 설명들을 첨부한다.
7) 의존관계 - 한쪽 사물에 변화가 있었을때 다른 쪽 사물도 그 영향을 받는 관계
------>
8) 연관관계 - 객체와 객체 사이에 의미있는 연결을 맺는 것을 연관이라고 한다.
9) 일반화 관계 - 부모와 자식 또는 조상과 자손의 관계를 의미한다.
ㅡ>
10) 실제화 관계 - 개념적으로만 정의된 부분과 실제로 구현된 부분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한쪽부분은 실행하기로 한 약속들을 정의하고 다른 부분은 그 약속들을 구현한 경우 상호간에는
실제화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